
Goals영속성 컨텍스트란?엔티티 생명 주기영속성 컨텐스트의 이점영속성 컨텍스트란?JPA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용어는 영속성 컨텍스트(persistence context)다. 우리말로 해석해 보면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이라는 뜻이다. JPA를 사용해 엔티티(객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전에 항상 이 영속성 컨텍스트라는 곳에 먼저 저장해야 한다. 다만, 영속성 컨텍스트에 엔티티를 저장한다고 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엔티티를 굳이 영속성 컨텍스트에 먼저 저장하는 이유는 다양한 이점이 있는데, 이는 뒤에서 설명하겠다.엔티티 매니저(EntityManager)로 엔티티를 저장하거나 조회하면 엔티티 매니저는 영속성 컨텍스트에 엔티티를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
웹 서비스를 개발한다고 했을 때, 기능마다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로직이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을 등록, 수정, 삭제하는 기능들은 검증된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기 때문에 사용자를 인증하는 로직이 공통으로 들어가야 한다. 이렇게 애플리케이션 여러 로직에서 공통으로 관심이 있는 있는 것을 공통 관심사(cross-cutting concern) 라고 한다.이러한 공통 관심사를 해결하는 대표적인 기술로 스프링의 AOP가 있는데, 웹 애플리케이션이라면 서블릿 필터나 스프링 인터셉터가 더 좋은 대안이 된다.서블릿 필터(Servlet Filter)서블릿 필터는 J2EE 표준 스펙 기술로, HTTP 요청과 응답을 필터링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주의할 점은,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동작하는게 아..

서비스를 개발할 때, 정상적인 비즈니스 로직을 작성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부분이 요청 데이터 검증이다. 클라이언트들은 항상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데이터를 입력해 서버로 요청하기 때문에 개발자 입장에서 이를 다 예측하고 걸러내는 작업이 쉽지 않다. 정말 사소한 오류들도 있겠지만, 몇몇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요청 데이터들이 결국 서버 오류로 이어지면, 클라이언트에게 불편한 사용감을 주게 되어 소중한 고객을 잃을 수 있다. 따라서 보통 정상적인 로직보다 검증을 위한 코드가 더 복잡하고, 이를 작성하는 시간이 더 많다고 한다.검증은 보통 다양한 계층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크게는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나누어 볼 수 있다.클라이언트 검증 : 사용자의 입력 폼(form)에서 HTML, Javascript로 실시..

메모리 공간과 주소 바인딩32비트 컴퓨터의 메모리 크기는 4GB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컴퓨터는 32비트 또는 64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32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한다는 의미는 메모리의 고유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위해 32비트(4바이트)가 사용되며, 총 2³²개의 고유한 주소를 가질 수 있다는 의미다. 또한, 32비트 컴퓨터의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이며, 레지스터의 크기이기도 하다.컴퓨터는 바이트 단위로 메모리 주소를 부여하기 때문에 32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게 된다면 최대 약 4GB의 메모리 크기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직접 비트를 바이트로 환산하는 계산을 해보고 왜 4GB인 지 헷갈릴 수 있다.2³² bit = 4,294,967,296 bit = 536,870,912 ..

스프링 MVC 패턴에서 뷰 템플릿 엔진(View Template Engine)으로 보통 타임리프(Thymeleaf)가 자주 쓰이며, 스프링 부트에서는 타임리프를 표준 뷰 템플릿 엔진으로 취급하고 있다. 프론트 엔드 엔지니어가 같이 있는 업무 환경에서는 보통 API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프뷰 템플릿을 사용할 일이 없겠지만, admin 페이지를 만든다거나, 프론트 엔드 엔지니어 없이 혼자 개발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뷰 템플릿 엔진을 사용하는게 더 편리할 수 있다. 때문에 1개 정도의 뷰 템플릿 엔진을 간단히 배워두는 것은 크게 어렵지도 않고, 언젠간 도움이 될 것이다.Goals타임리프의 특징5가지 기본 표현식자주 쓰는 구문 정리타임리프의 특징내츄럴 템플릿타임리프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은 HTML을 자연스러운 ..

CPU 스케줄링의 목적일반적으로 사용자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과정은 CPU 작업과 I/O 작업의 반복으로 구성된다. CPU 작업은 레지스터 간의 연산 및 메모리 접근 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반면 I/O 작업의 경우, CPU의 제어권이 운영체제 커널로 넘어갈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매우 느린 입출력 장치의 접근이 필요하게 된다. 전자를 CPU 버스트라고 하고, 후자를 I/O 버스트라고 한다.CPU 버스트(burst) : 사용자 프로그램이 직접 CPU를 가지고 빠른 명령을 수행하는 일련의 단계I/O 버스트(burst) : 커널에 의해 입출력 작업을 진행하는 비교적 느린 단계각 프로그램마다 CPU 버스트와 I/O 버스트가 차지하는 비율이 균일하지는 않다. CPU 버스트가 길게 나타나는 ..

스프링을 사용해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본 적이 있는 개발자라면, 상당히 간단하게 컨트롤러 클래스를 작성해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근데 가만 생각해 보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맞게 호출될 수 있도록 URL을 매핑해 주고, 비즈니스 로직을 넣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뷰 로직도 들어가야 하는 “컨트롤러” 클래스가 그렇게 간단할 수 없다.이는 스프링 MVC 프레임워크가 비즈니스 로직 이외의 반복적이고 귀찮은 작업들을 처리해 주고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그것도 아주 깔끔한 객체 지향적인 설계로 말이다. 때문에 개발자는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HTTP 요청을 입맛에 맞게 처리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스프링 MVC도 처음에는 이런저런 기능 부족과 불편함 때문에 외면받기도 했다. 하지만 애노테이..

Git Branch모든 버전 관리 시스템은 브랜치(Branch)를 지원한다. 개발을 하다 보면 코드를 여러 개로 복사해야 하는 일이 자주 생긴다. 코드를 통째로 복사하고 나서 원래 코드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개발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렇게 독립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브랜치다.Git의 브랜치 모델은 다른 VCS들과 다르며, 최고의 장점으로 손꼽힌다. Git의 브랜치는 매우 가볍다. 순식간에 브랜치를 새로 만들고 브랜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때문에 이전의 코드를 그대로 가져와 독립적인 개발을 진행할 수 있다는 브랜치의 생성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리스크를 줄일 수 있었다.브랜치(Branch)란 무엇인가Git이 브랜치를 다루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예시를 들어 보겠다.➜ branch-ex g..
- Total
- Today
- Yesterday
- spring mvc
- Spring Data JPA
- Computer_Networking_A_Top-Down_Approach
- 스프링 테스트
- Thymeleaf
- 스프링 mvc
- 패킷 스위칭
- 선형 회귀
-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 지옥에서 온 git
- 파이썬 for Beginner 연습문제
- git merge
- 방명록 프로젝트
- Python Cookbook
- Spring
- 스프링 컨테이너
- 스프링
- 쉘 코드
- Gradle
- 프로그래머스
- 김영환
- 파이썬 for Beginner 솔루션
- 운영체제 반효경
- jsp
- git branch
- 생활코딩 javascript
- Do it! 정직하게 코딩하며 배우는 딥러닝 입문
- Spring Boot
- git
- JP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